보험정보

보험 가입 시 계약자님이 필히 확인해야 할것!

태권장 2023. 8. 19. 10:02
반응형

가끔은 보험 가입 후 몇 년 있다 보상관계로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를 볼 수 있답니다.

설계사님이 설명을 안 했거나 설명을 했지만 부실했거나, 또는 설명을 했지만 오래돼서 기억이 없을 경우도 있기에,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안 되는 경우는 니탓. 내 탓으로 분쟁을 하게 되지요.

그래서 가입 시 설계사님보다는 계약자님이 정확히 따져서 알고 가입하심이 좋을듯하답니다.

따라서 보험 가입 시 필히 계약자님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꼭! 문의 후

서명하셔야 해요~

 

 


※ 보험 가입 시 유의할 부분을 적어볼게요^^

 

보험 가입 시 년 납과 세납이 있답니다.

-년 납은 20년 납 20년 만기, 세 납은 20년 납 80세나 90세 만기예요. -년납일 경우에는 보통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시기에 적은 보험료로 가입 금액 높게 가입할 경우예요. 즉, 2,30대 가입자는 세납으로 가입하며, 비 갱

신이랍니다. 즉 20년 80세 만기나, 20년 납 90세 만기요.

- 세납은 경우에 진단금 금액이 높으면 보험료가 높아요. 그래서 발생 빈도가 높은 시기에는 년 납으로 복수 가 입 을 한답니다. 즉 30년 납 30년 만기일 경우는 가입 금액이 높지만, 보험료가 저렴하고 갱신이랍니다.

30년 뒤 재가입을 하게 되지만, 이때에는 보험료가 높을 수가 있으니 보험 가입을 낮춰서 가입하시면 돼요.

- 참고로 5,60대인 분들은 세 만기보다는 년납 년만기 가입이 유리하답니다. 왜냐면 보험료 비싸요 ㅜ

 

보험 가입 시 피보험자는 꼭! 직업 및 상병을 정확히 고지해야 해요~

-가끔 보험료 낮추려고 직업이 생산직인데 사무직으로 고지하는 분들이 있어요. 그럼 절대 안 돼요ㅜ

사무직은 1급, 생산직은 2급, 운전직은 3급으로 높을수록 보험료가 높답니다. 단 상해담보로요~

혹여 사무직 하다가, 기계직으로 근무 시는 보험료가 올라가지만 꼭! 직업 고지를 해야 불이익 안 받는답니다.

-또한 5년 이내 병원 입원 시의 내용,정확히 고지해야 하는데, 혹여 잘 모를 경우는 건강보험공단 사이트 들어

가면 본인이 병원 간 기록을 볼 수 있답니다.^^

보험 가입 시 꼭! 계약자, 피보험자는 자필서명해야 해요~

-보험 가입 시 서류가 참 많아요.. 보통 20자 내외여서 잘 읽어보지 않는답니다. 그리고 읽기를 원치 않은 계약 자분들 이 대부분이에요~ 작은 글씨에 귀찮아서요 ㅋㅋ

그러나 한 번쯤 시간이 걸려도 읽어보시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체크하여 문의하심이 좋을 듯요~

사실 보험료 잘 납입하고, 고지 잘하면 특별히 문제 될 것은 없지 반, 혹여 분쟁 생길까 봐 보험사가 통보하는

거랍니다.^^

보험 가입 후 약관이 중요하니 꼭! 보관을 해야 해요~

- 보험 가입 시 약관을 예전에는 두꺼운 책으로 줬는데 요즘은 모바일로 보낸답니다.

그러나 우리는 잘 안 봐요^^ 그러나 혹여 보상이 발생될 경우가 생길 경우는 약관이 필수예요^^

보험 담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약관에 있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수십 가지 담보 있는 약관에서 계약자가 가입한 담보에 대한 약관만 발췌해서 증권과 함께

보관하시게 한답니다. 그래서 혹여 어떤 질병 시 얼마의 보상이 되는지 확인하시라 한답니다.

물론 보험사에 청구 시 심사자들이 알아서 하지만, 그분들도 실수할 경우가 있답니다.

 

보험 가입 시 담보에 대해 설명 들은 부분은 서로 꼭! 확인을 받으세요~

 


 

주변의 분쟁을 유발할 내용을 적어볼께요^^

1. j 지인은 오래전에 남편의 15년 100세 만기인 종신보험을 가입, 납입완료 되었답니다.

아이들이 어렸고 혹시나 해서 설계사의 권유로 주보험이 사망보험금인 종신보험에 가입하였답니다.

저에게 증권을 주면서 봐달라 하니 역시 1억 원이라는 사망보험금 지급하는 그것은 70세 전에 지급하고

이후는 1억이랍니다.

그러나 지인은 무조건 사망 시 1억 원이라고 알고 있어 담당설계사한테 물어보니 그분도 오래돼서 정확히

설명했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고 하였답니다.

그래서 지인이 화가 났지만, 다행히 건강하시고 , 납입금 대비 약간의 이자도 붙으니 해약해서 더 늙기 전에 여행 다니고

건강 잘 챙기면서 사시라고 권했지요.^^

사망보험금이 주 담보인 종신보험은 아이들이 어릴 적에 혹여 부모님이 불의의 사고 시 아이들 경제활동 위해 대비책이기에,

성인이 되었을 경우는 굳이 그것이 필요할까~ 하는 생각을 저는 해봅니다.

따라서 담보에 대해 설명을 들었을 경우는 자필서명 이외에 서류에 확인 사인을 함이 나중에 분쟁이 없어요^^

2. 지인 y는 아들이 오토바이 타다가 교통사고를 당해서 3개월 입원, 후유장애가 발생했답니다.

그 역시 보험가입 시 오토바이 운전하여 사고 시 보상이 안 됨을 듣지 못했다고 문의했지요.

오토바이 사고 시는 분명 모든 보험사가 면책이랍니다. 그런데 예전에는 대부분 자녀들 보험 가입 시

부모님이 대필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 경우는 아들한테 서명을 받지 않고 설명을 못한 설계사님 책임이지요.

그래서 이렇게 자녀의 보험을 부모님이 가입 시는 필히 자녀도 함께 설명 듣고 자필서명을 받아야 해요.

그래야 서로 분쟁이 없도, 보상 시 잘 해결이 된답니다.

이 경우 제가 조언을 어떻게 했을까요?^^♬

반응형